2025.02.26 - [투자/주식] - TSMC 발 반도체 공급 충격 발생 시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 1
TSMC 발 반도체 공급 충격 발생 시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
2025.02.23 - [투자/주식] - 중국 대만 전쟁 시 수혜 산업 및 주식 중국 대만 전쟁 시 수혜 산업 및 주식중국-대만 전면전이 현실화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 큰 혼란이 발생하면서 일부 한국 기업들
minhong-science.tistory.com
이전편입니다.
- 한편, 타 분야 영향으로는 전쟁 지속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올 수 있어 스마트폰, 가전 수요가 위축되고, 이에 따라 삼성 DX부문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폰 등 경쟁 제품 생산 차질로 삼성 스마트폰의 상대적 판매 선방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이 첨단 칩 부족으로 아이폰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 그 공백을 삼성 갤럭시가 일부 채울 수 있습니다. 다만 2단계에서도 첨단 AP 공급이 부족한 건 마찬가지이므로, 삼성 MX사업부도 자체 AP(엑시노스)의 생산투입을 늘리는 등의 대응이 필요합니다. 메모리 시장은 2단계에 이르면 오히려 삼성에게 유리하게 돌아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쟁 발발 직후 재고조정이 끝나고 나면, **남은 메모리 공급자(삼성, SK, Micron)**에게 수요가 몰리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반도체 조달 어려움으로 중국 내 데이터센터나 스마트폰 업체들이 삼성의 메모리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메모리 가격이 상승 전환할 수 있습니다. 즉, 시스템 반도체 공급 부족이 장기화되지만 필수제품 생산은 재개되는 국면에서는, 메모리도 부족 사태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합 효과로 2단계 중기에는 삼성 DS부문 전체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첨단 Logic과 메모리 모두 대량 생산 가능한 기업이므로, 전쟁으로 인한 반도체 패권 재편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입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글로벌 고객과의 협력이 중요하며, 삼성은 품질과 수율 이슈를 최소화해 신뢰를 얻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됩니다 (초기 급증한 주문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수율 문제가 생기면 삼성 평판에 치명적일 수 있음).csis.org
- 시나리오 3단계: 전후 복구 및 산업 질서 재편 (장기 1년~수년) – 반도체 공급망 재구축 & 삼성의 위상 강화. 전쟁이 끝나거나 장기화된 가운데 국제사회는 탈(脫)대만 반도체 공급망을 새로 구축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미국, 일본, 유럽 등이 자국 내 첨단반도체 생산 능력을 키우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할 것입니다. Intel과 같은 미국 기업도 파운드리 사업 확장에 나서고,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그러나 첨단 공정 역량을 단기간에 갖춘 나라는 한국(삼성) 외에 거의 없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위상은 당분간 독보적으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삼성은 전쟁 이전까지 TSMC에게 기술력과 시장점유율 모두 밀렸던 파운드리에서 사실상 1위 지위를 확보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고객 Lock-in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많은 팹리스 업체들은 삼성과 장기 공급계약을 맺고 두터운 협력관계를 이어가려 할 것입니다. 메모리 분야에서도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좌초됨에 따라 삼성과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3강 체제가 공고해지고, 그 중에서도 최대 생산능력을 가진 삼성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또한 대만 출신의 숙련된 반도체 인력들이 전쟁 이후 해외 (한국, 미국 등)으로 이동하여 삼성 등에 합류하는 시나리오도 거론됩니다. 이는 삼성에게 인적자원의 보강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삼성전자 전체로 보면, DS부문 중심으로 회사의 구조가 더욱 반도체 쪽으로 쏠리고, 파운드리와 메모리 쌍두마차로 글로벌 일류 기업 지위를 확고히 할 것입니다. 반면 DX부문은 애플, 테슬라 등 주요 고객사의 부품 부족 사태가 해소되면 다시 경쟁이 재개되어, 삼성전자가 전쟁 기간 얻었던 일시적 시장점유율 상승분을 일부 반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반도체 산업 구조 면에서는 **“삼성=반도체 패권국의 챔피언”**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도 첨단 칩 공급을 삼성에 상당 부분 의존하게 되어, 삼성전자는 단순한 기업을 넘어 국제 지정학적 자산으로 부각될 것입니다. 한편 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은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집니다. 중국과의 긴장 속에서 한국의 삼성 시설을 지키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뒤따를 것이며, 국내 생산시설 안전 강화와 함께 미국 현지 생산비중이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요약: 중국-대만 전쟁 시나리오는 전 세계 반도체 공급에 재앙적 충격을 주지만,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위기 속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수혜 사업부는 삼성의 파운드리 사업(DS 부문)**이며news.mt.co.kr, 단기 혼란기를 지나 중장기적으로 보면 삼성은 사실상 유일한 첨단 칩 공급원으로서 시장지배력과 전략적 중요도가 극대화될 것입니다. 1단계에서는 전례 없는 공급 쇼크로 삼성도 타격을 입으나, 2단계부터 삼성 파운드리에 세계 수요가 집중되며 DS 부문 이익이 급증하고, 3단계에서는 새로운 반도체 질서에서 삼성전자가 글로벌 핵심 공급자의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가정 시나리오이며, 현실에서는 전쟁을 방지하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을 지키는 노력이 최선일 것입니다. 결국 이 시나리오는 **“실리콘 실드”**로 불리는 대만 반도체 산업의 공백을 삼성전자가 얼마나 메울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가정인데, 그 결론은 삼성이 단기간 내 모든 수요를 대체하긴 어려워도, 유일한 대안으로서 막대한 수혜와 함께 막중한 책임을 지게 된다는 것입니다csis.org
.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주식 분석 보고서 2 (0) | 2025.02.27 |
---|---|
SK하이닉스 주식 분석 보고서 1 (0) | 2025.02.27 |
TSMC 발 반도체 공급 충격 발생 시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 1 (0) | 2025.02.26 |
영업이익 상승기에 PER은 어떻게 오를까? 2 (0) | 2025.02.24 |
영업이익 상승기에 PER은 어떻게 오를까? 1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