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경제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5

Minhong224 2025. 3. 3. 22:44
반응형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3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3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3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3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

minhong-science.tistory.com

이전편

 

4. 뷰티 브랜드들의 성공적인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례 및 데이터 분석

앞서 살펴본 원칙들과 전략들이 실제 사례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성과를 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국내외 뷰티 브랜드들의 성공적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례를 통해 배울 점을 정리하고, 관련 데이터 및 ROI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에이피알(APR)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 분석

**에이피알(APR)**은 April Skin(에이프릴스킨), Medicube(메디큐브) 등 인기 K-뷰티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성장 핵심 동력으로 삼아 단기간에 크게 성공한 국내 사례입니다. APR은 설립 초기부터 D2C(자사몰 직판) 전략을 취하며, SNS 인플루언서 마케팅으로 소비자를 자사몰로 유입시키는 방식을 공략했습니다fi.co.kr. 이들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인플루언서 활용을 적극 전개하여, 글로벌 매출 급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실제로 APR은 미국 시장에서 미세한 인플루언서 풀을 운영하며 Amazon 등을 통해 큰 매출 성과를 냈고, 일본 시장에서도 틱톡커 등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호응을 얻었습니다​apr-blog.com.

APR의 전략 몇 가지를 짚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시장별 현지화된 인플루언서 전략입니다. APR은 미국, 일본, 동남아 등 진출 국가마다 현지의 인기 SNS 플랫폼과 인플루언서를 발굴하여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apr-blog.com.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트위터, 인스타, 틱톡을 중점 활용하고 현지 소비자 니즈에 맞춘 콘텐츠를 제작했으며​, 북미에서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대거 시딩하여 아마존 구매전환까지 이어지게 했습니다​. 특히 북미 시장 성공 공식으로 꼽히는 “틱톡에서 유행 -> 아마존 판매” 흐름을 코스알엑스 등과 함께 선도해, 메디큐브 등이 아마존 카테고리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jerrybeanstalk.com.

 실제 2024년 아마존 프라임데이 기간에 APR의 메디큐브 “부스터 프로” 뷰티 디바이스는 하루에 1만 대 판매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는데​jerrybeanstalk.com, 이는 북미지역 수많은 틱톡∙인스타 인플루언서들의 입소문 덕분이었습니다. 둘째, 다각도 콘텐츠와 꾸준한 트렌드 대응입니다. APR의 일본 마케팅 담당자는 인터뷰에서 “콘텐츠 하나 제작에도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들며, 빠르게 변하는 뷰티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apr-blog.com. 실제 APR 팀은 매일 글로벌 SNS 트렌드를 모니터링하고, **그때그때 유행에 맞는 컨텐츠 포맷(릴스, 챌린지 등)**을 기획해 인플루언서들에게 제안했습니다. 셋째, 성과 중심의 인플루언서 관리입니다. APR은 인플루언서 선정을 위해 경쟁사 사례를 연구하고 각 브랜드(April Skin, Medicube)에 맞게 어떤 인플루언서가 효과적일지 분석했다고 합니다​apr-blog.com. 또한 캠페인 후에는 각 인플루언서 협업 콘텐츠의 조회수, ROAS 등을 면밀히 평가하여, 좋은 성과를 낸 인플루언서와는 장기 협업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개선을 모색했습니다​apr-blog.com. 이러한 데이터 기반의 운영 덕분에 APR은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APR 사례의 가장 큰 시사점은, K-뷰티 중견 기업도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체계적으로 활용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한다는 것입니다. APR은 한국에서 쌓은 인플루언서 마케팅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일본에서도 현지 **왕홍(網紅, 인플루언서)**들과 다수 협업 계획을 추진 중이며news.bizwatch.co.kr, 이를 통해 중국 본토 공략까지 나서고 있습니news.bizwatch.co.kr. 이처럼 APR은 **“인플루언서 풀 세팅 -> 현지화 콘텐츠 -> 성과 분석 및 확장”**의 선순환을 구축하여 4년만에 연매출 2000억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직접적인 ROI 증명 사례로도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대표 뷰티 브랜드들의 성공 사례 (로레알, 에스티 로더, 펜티 뷰티 등)

글로벌 빅 브랜드들 역시 최근 수년간 공격적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도입하여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마케팅 강자였던 이들이 디지털로 무게중심을 옮기며, 때로는 스타트업보다 더 과감한 투자를 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 에스티 로더 그룹은 세계적인 뷰티 기업으로, 일찌감치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유명합니다. 2019년 CEO 팹리조 프레다(Fabrizio Freda)는 “우리 광고 예산의 75%를 디지털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에 쓰고 있다”고 발표하여 업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이는 당시에 전통 브랜드 중 가장 적극적인 행보였는데, 실제 이 전략으로 에스티 로더는 해당 분기 9%의 매출 증가를 달성했습니다​. 이들은 유명 모델(켄달 제너, 카를리 클로스 등)을 기용한 캠페인부터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의 제품 리뷰 협업까지 전 계열 브랜드에 인플루언서 접목을 확대했습니다​hellopartner.com. 그 결과 디지털에서의 높은 노출이 매장 판매까지 견인하며, 2017년 한 해 미국에서만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9억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추산될 정도로 공격적이었습니다​. 에스티 로더 사례는 전통 명가 브랜드도 인플루언서 전략 없이는 성장 한계에 봉착한다는 판단 아래 전략 전환에 성공한 케이스로 평가됩니다. 현재도 에스티 로더 계열의 맥(MAC), 라 메르(La Mer) 등은 SNS상에서 수많은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쏟아내고 있고, 이는 브랜드의 젊은 이미지 구축과 매출 신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로레알(L’Oréal): 세계 최대 화장품 회사인 로레알은 “Digital First” 전략을 천명하고 다양한 인플루언서 프로그램을 가동했습니다. 로레알은 2017년 영국에서 **“Beauty Squad”**라는 인플루언서 팀을 구성해 자사 제품을 정기적으로 리뷰하도록 했고, 미국 등지에서도 메이크업 아티스트, 유튜버를 공식 앰버서더로 위촉해 캠페인에 참여시켰습니다. 또한 로레알은 기술 투자도 활발히 해서, 2018년 AR뷰티 기업 모디페이스(ModiFace)를 인수, 이를 인플루언서들이 활용하는 버추얼 메이크오버 콘텐츠 등에 접목했습니다. 로레알의 대표적 성공 사례 중 하나는 메이블린(Maybelline) 브랜드가 진행한 유튜버 콜라보 캠페인입니다. **“메이블린 x Influencers City Edition”**으로 여러 도시별 유명 뷰티 유튜버들이 각 도시 영감을 받은 메이크업 룩을 선보였는데, 영상 총 조회수가 수천만 회에 달하며 메이블린을 다시 젊은층에 각인시켰습니다. 로레알은 또한 다양성 캠페인도 인플루언서와 진행했는데, 장애를 가진 뷰티 인플루언서, 다양한 인종의 크리에이터 등을 기용한 True Match 파운데이션 캠페인포용적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로레알은 글로벌 규모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체계화하여, 각 나라 지사들이 본사의 가이드 아래 현지 인플루언서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traackr.com. 그 결과 디지털 전환에 뒤처질 수 있었던 거대 기업이 오히려 SNS 트렌드를 선도하며 젊은 인디 브랜드들과 경쟁에서도 우위를 지키고 있습니다.meltwater.com

  • 펜티 뷰티(Fenty Beauty): 글로벌 사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리한나(Rihanna)의 Fenty Beauty입니다. 2017년 데뷔한 펜티 뷰티는 가수 리한나가 설립한 브랜드로, 처음부터 인스타그램 등 SNS를 무대로 성장했습니다. 펜티 뷰티의 성공 요인은 **“포용성과 인플루언서 활용의 결합”**으로 꼽히는데, 40개 이상의 파운데이션 색상을 출시하며 다양한 모델과 인플루언서들이 각자 피부톤에 맞는 제품 사용 영상을 올리도록 한 것입니다​. 유명 뷰티 인플루언서뿐 아니라 평범한 사용자인 팔로워들도 자발적으로 자신의 펜티 사용 후기 영상을 올렸고, #FentyBeauty 해시태그가 출시 1년만에 50만 건 이상 생성되는 어마어마한 바이럴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모든 사람을 위한 뷰티”라는 메시지가 인플루언서들에 의해 폭넓게 증폭된 결과로, 출시 첫 해에 5억 달러 매출을 올리며 뷰티 업계 판도를 바꿔놓았습니다. 펜티는 또한 제품 출시 전 리한나 본인이 SNS에 티저를 흘리고, 뷰티 구루들에게 시제품을 보내서 기대감을 조성하는 등 교묘한 인플루언서+셀럽 마케팅으로 항상 화제를 끌었습니다. 이 사례는 유명인 셀럽 브랜드라도 인플루언서 및 팬 커뮤니티 참여를 이끌어낼 때 폭발적 성장이 가능함을 보여줍니다.territory-influence.com

  • 나이키의 조던 x 메이크업 아티스트 콜라보 등 기타 사례: 글로벌 색조 브랜드 NYX는 유튜버 대상 Face Awards를 개최하여 인디 인플루언서들의 등용문을 만들고, 그들과 함께 성장하는 사례를 만들었습니다. Huda Beauty처럼 인플루언서가 창업한 브랜드는 말할 것도 없이 자신이 메가 인플루언서로서 브랜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반대로 전통 패션 브랜드 나이키가 이색적으로 조던 스니커즈와 메이크업 룩 매칭 영상을 뷰티 인플루언서들과 제작해 화제가 된 적도 있습니다. 이렇듯 경계 없는 콜라보와 크로스오버 콘텐츠가 소셜상에서 주목받으며 결과적으로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 글로벌 사례의 공통점은 **“인플루언서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와 신뢰”**입니다. ROI 면에서 인플루언서 캠페인이 효과적이라는 확신이 있기에 가능한 행보입니다. 실제 Charle Agency의 조사에 따르면 다수의 브랜드들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주요 채널로 삼으며, 일부 기업은 마케팅 예산의 40% 이상을 쏟아붓고charleagency.com, 90%의 마케터가 다른 채널보다 ROI가 높다고 평가하는 상황입니다​aggero.io. 이러한 배경에서, 로레알이나 에스티로더 같은 대기업들은 자본력을 바탕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선도하며 경쟁우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뷰티 브랜드 사례 (3CE, 코스알엑스 등) 및 성과 데이터

국내에서도 APR 외에 다수의 뷰티 브랜드들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통해 입지를 강화한 사례가 있습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3CE (3 Concept Eyes): 3CE는 스타일난다에서 시작한 색조 화장품 브랜드로, 국내 최초로 인스타그램 등 SNS를 적극 활용해 성공한 케이스 중 하나입니다. 2010년대 초중반 3CE는 스타일난다 자사 모델들의 감각적인 메이크업 사진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에 퍼뜨리며 젊은 층의 열광을 얻었습니다. 유명 뷰티 블로거들과 유튜버들도 3CE 제품을 애용하고 리뷰하면서, 바이럴이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3CE의 “무드 매치” 립스틱이나 아이섀도 팔레트는 출시 때마다 SNS상에서 품절 대란 소식이 돌았고, 이로 인해 더욱 구매욕을 자극하는 마케팅 효과를 거뒀습니다. 3CE는 이렇게 SNS 기반 인기에 힘입어 2018년 로레알 그룹에 인수될 정도로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오가닉한 인플루언서 입소문이 국내 인디 브랜드를 글로벌 진출까지 연결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 코스알엑스(COSRX):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 코스알엑스는 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 성공 사례로 유명합니다. 코스알엑스는 2015년부터 해외시장에 공략하면서, 값비싼 광고보다 유튜버/인스타그래머들의 자발적 리뷰 확보에 주력했습니다. 트러블 패드나 스네일 에센스 등 제품들이 미국, 동남아의 스킨케어 인플루언서 사이에서 입소문을 탔고, 2020년대 들어 틱톡에서 “글래스 피부” 트렌드와 함께 크게 유행했습니다​​jerrybeanstalk.com. 앞서 소개했듯, 틱톡 챌린지를 통한 아마존 판매 1위 달성 등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고, 2022년 매출 4,862억 원 중 절반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할 정도로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newneek.co. 이는 한인fluencer(해외 한인 뷰티 유튜버) 커뮤니티와 현지 인플루언서 풀을 적극 활용한 덕분이며, COSRX 브랜드팀은 이 성공 공식을 벤치마킹하려는 업계의 연구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newneek.co. 코스알엑스는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들과 협업하며, 2023년 4분기에도 틱톡 인기 덕분에 아마존 판매량 1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jerrybeanstalk.com.

 

  • 국내 대형 화장품사 사례: 아모레퍼시픽 등도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적극 도입했습니다. 이니스프리는 글로벌 모델을 쓰는 동시에, **해외 유튜버(예: 베트남, 태국 뷰티 유튜버)**들을 활용해 K-뷰티 붐을 일으켰고, 라네즈는 미국 세포라에 진출하며 현지 인플루언서들에 신제품을 보내고 리뷰 영상을 공유받아 활용했습니다. 미샤토니모리 같은 로드숍 브랜드들도 예전 오프라인 중심에서 벗어나, 인스타그램에서 일반인 뷰티 크리에이터들의 UGC를 리그램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참여를 높였습니다. 또한 **클리오(Clio)**는 자사 온라인몰에서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한정 세트 판매, **어퓨(A’pieu)**는 틱톡 챌린지 개최 등, 각사의 타겟층에 맞춘 여러 시도를 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의 결과, 국내 기업들도 코로나19 시기 온라인 판매 비중이 급증하며 디지털 마케팅의 효과를 체감했습니다. 예컨대 LG생활건강은 2020년대 들어 인플루언서 캠페인 강화로 자사몰 트래픽이 늘고 매출이 성장했다고 밝혔고, 어느 기업은 인플루언서 캠페인 후 해당 제품의 2주 판매량이 평소 대비 5배 이상 증가했다고 내부적으로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업계 보도자료).

이처럼 다양한 규모의 브랜드들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객관적인 데이터로도 효과가 입증되고 있습니다. 특히 ROI 측면에서 살펴보면, 뷰티 업계는 평균적으로 $1 투자 시 $5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charleagency.com, 성공 사례는 $10~18의 수익까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aggero.io.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Aggero의 분석에 따르면, 뷰티 브랜드들은 $4~6 per $1을 평균으로 여기며 $10 이상이면 고ROI, $3 이하면 저ROI로 간주한다고 합니다​aggero.io. 물론 이러한 수치는 브랜드 인지도, 제품력, 캠페인 기획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다수의 사례에서 유의미한 매출 상승을 확인했기에 산업계 전반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신뢰하게 된 것입니다.

성공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결국 인플루언서 마케팅도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해야 성과로 이어진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노출을 많이 한다고 무조건 매출로 연결되진 않습니다. APR, Fenty, COSRX 등은 자사 제품의 강점을 인플루언서들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도록 전략을 세웠고, 진정성 있는 스토리텔링과 타겟 공략을 통해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결과를 데이터로 측정하여 더욱 전략을 고도화했습니다. 반면 몇몇 실패 사례도 있는데, 예를 들어 부적절한 인플루언서 선정으로 논란이 생긴 경우(팔로워를 샀거나 이미지가 불량한 인플루언서와 협업했다가 역효과), 광고 티만 나고 콘텐츠가 무성의한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소비자 반응이 냉담했고 오히려 브랜드 이미지에 손상이 가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성공한 케이스들의 모범을 따르되, 우리 브랜드에 맞는 최적의 실행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편

2025.03.03 - [투자/경제] -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5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5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4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역할과 중요성 4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K 뷰티 산업에서 인플루언

minhong-science.tistory.com

 

반응형